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떼쓰는 아이 육아 방법

by 샘물샘 2025. 2. 9.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한없이 예쁘고 사랑스러울 때도 있지만, 가끔은 울고 떼쓰는 행동으로 힘들 때도 있습니다.

특히 바쁜 시간에는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줄 시간적 감정적 여유가 없어 더 힘들게 느껴집니다.

 

떼쓰는 아이!

떼를 쓰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떼쓰는 아이 육아방법을 함께 알아보아요.


아이들이 떼를 쓰는 이유

 

아이들은 자신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애서 떼를 쓰거나 어리광을 부리고 지나치게 징징거리기도 합니다.

떼쓰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관심 추구하기
아이들은 사랑받고 주목받고 싶어합니다.
이전에 어리광 부리는 행동, 징징거리는 행동, 또는 달라붙는 행동이 효과가 있었다면, 그런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부정적인 관심(예: 부모의 좌절감, 화내는 행동)도 관심이라고 생각합니다.


2. 행동의 경계에 대한 테스트
떼를 쓰는 아이들은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징징거리거나, 울거나, 어리광부리는 행동을 통해 자신의 요구에 대해  더 많은 허용을 얻어내려 합니다.

떼쓰는 행동을 통해 이전에 안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면 떼쓰는 일은 점점 더 심해지게 됩니다.


3. 감정 표현의 미숙함으로 인한 떼쓰기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표현을 구체적으로 하기가 어렵습니다.
"답답해요", "서운해요", "아쉬워요" 등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힘든 경우가 많으므로, 상황에 집착하거나 고집을 부리고 울고 떼쓰는 등 과장된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4. 자아형성과 독립 추구
아이들은 점점 자라면서 자아가 강해집니다.

아이들이 성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지나치게  통제된 양육방법이 이루어진다면, 아이들은 울고 떼쓰는 방법을 통해 불만을 표출할 수 있습니다.

지시이고 통제된 환경에서 아이들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함으로써 상황을 변화시키려는 욕구를 표출합니다.

 

떼쓰는 아이 육아방법


1. 침착함을 유지하면서 아이의 감정 인정하기

떼쓰는 아이를 다룰 때 아이와 함께 감정을 고조시키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가끔 아이와 함께 소리를 지르고 화내는 부모들도 있습니다.

이것은 아주 잘못된 방법입니다.

일관되고 침착한 감정을 유지하면서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부모가 감정을 명명하는 것을 통해 아이가 떼쓰는 행동을 할 필요성을 줄여주게 됩니다.

예)"우리 ㅇㅇ이가 속상한 일이 있었구나, 왜 그런지 엄마에게 얘기해 줄래?"

 

2. 명확하고 일관된 경계 설정

떼를 쓰는 상황을 종료시키며 침착하게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떼를 쓰는 것을 통해서는 얻을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을 일관되게 알려줍니다.

일관성 있는 경계 설정으로 아이들이 화를 내거나 감정적으로 격해지는 상황을 줄여갈 수 있습니다.
포기하지 않고 결정을 고수하되, 필요하다면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아이가 쉴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3. 제한된 선택권 제공

미숙한 아이에게 지나치게 많은 선택권을 주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두 개 중에 고르기, 세개 중에 고르기 등 아이가 제한된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장과정에서 아이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한 자신감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가 부모의 지시를 따르면서 어느 정도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 장난감 세개 중에 하나 고르기

     원피스 두개 중에 하나 고르기

     엄마 손 잡기와 아빠 손 잡기 중에 고르기


4. 긍정적인 보상 제공하기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할 때는 가만히 있다가, 부정적인 행동을 할 때에만 훈육을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의 사소한 좋은 행동에도 칭찬이 필요합니다.

부모의 칭찬을 통해 아이는 긍정적인 행동을 조금씩 강화해 가므로, 떼쓰는 행동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  우리 ㅇㅇ이가 엄마를 아주 잘 기다려주었네, 와~ 너무 잘했어, 멋져!!!

 

5. 진정하는 방법 가르치기
아이에게 스스로 감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심호흡하기, 애착인형 안고 휴식하기, 아이가 좋아하는 공간에서 시간 가지기 등 아이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바쁜 시간에 떼쓰는 아이 대처하는 방법

 

떼쓰는 아이의 육아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바쁜 상황에서 아이에게 일일이 맞춰주기가 힘들다고 호소하는 부모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아침출근시간, 약속된 예매 시간 등 시간적인 제한이 있을 때에는 아이의 요구를 한없이 받아주기가 힘든 것이 현실입니다.

이럴 때는 빠르고 명확하게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짧고 명확한 문장 사용
긴 설명 대신, 짧고 명확한 문장을 침착하게 사용하기
"아니, 지금은 안돼."
"이해는 하지만 안돼."


2. 경고 및 타이머 사용
집을 떠나거나 놀이를 멈추는 등 전환이 어렵다면 미리 알려주기
"시계가 5로 바뀌면 그만할 거야."
타이머를 설정하고 "딩동 소리가 나면 출발해."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갑작스러운 놀라움을 피하고 짜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감정 없이 결과를 집행하기(상황 종료하기)

아이의 감정에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 행동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바쁜 시간에 너무 많은 요구에는 반응을 할 필요 없이 필요한 준비를 절차대로 진행합니다.

이때, 부모는 일관된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한 번 물어보세요" 규칙 가르치기

같은 요구 또는 질문을 반복적으로 물어볼 경우, 일일이 대답하지 말고 그냥 " 물어보고 대답했어"라고 알려줍니다.